'분류 전체보기'에 해당되는 글 30건
- 2010.12.20 :: ARDrone - Compile Windows SDK 1.5 In Visual Studios 2010 by Sparticus
- 2010.12.02 :: 마우스 MX1000 분해 2
- 2010.12.01 :: 전상호 수영ㅋㅋ 1
- 2010.12.01 :: 종관형 수영 모음 1
- 2010.12.01 :: 곰탱이 수영 ㅋㅋ ( 2009년도 ) 1
- 2010.12.01 :: 리니어 스테이지 전문용어
- 2010.11.23 :: 라그랑지안(b0.001)
- 2010.11.17 :: 동역학
- 2010.11.08 :: 우주전쟁2
- 2010.11.06 :: 요즘 하는 Segway
In order to actually get the sample application to compile there is a lot of work to be done after following the developer’s guide (on pages 77-81) provided by the guys at Parrot. In order to download the guide from the link provided above you will first need to head over to the developers section and register. This tutorial, however, will avoid the developer’s guide instructions all together so the only reason you really need to register is to download the SDK 1.5 Source. So lets get to it!
*please note these instructions are for Windows 7 only with Visual Studios 2010 Ultimate (they may or may not work with previous versions).
* sorry about the formatting issue toward the bottom of the page. I will fix that tomorrow.
Needed Files:
- ArDrone SDK 1.5 Source (available here)
- Microsoft Windows SDK (available here)
- Microsoft DirectX SDK (available here)
- SDL Library (available here)
Install Dependencies:
- Untar SDK 1.5 Source (I like to use 7Zip to do this)
- Install Microsoft Windows SDK
- Install Microsoft DirectX SDK
- Unzip SDL Library
Setup:
- Open Visual Studio project file located
- <ardrone sdk root>\Ar Drone\ARDrone_SDK_1_5_Version_20101004\Examples\Win32\VCProjects\ARDrone\ARDrone.sln
- Follow wizard to covert from VS2008 to VS2010
- Close Visual Studios (important)
- Edit Files (I like to use notepad++):
- ArDrone_properties.props
- update reference of d:\Parrot\Examples\Win32\sdk_demo\ to C:\<path to sdk 1.5 source>\Ar Drone\ARDrone_SDK_1_5_Version_20101004\Examples\Win32\sdk_demo\Sources
- update reference of d:\Parrot\ARDroneLib to C:\<path to sdk 1.5 source>\Ar Drone\ARDrone_SDK_1_5_Version_20101004\ARDroneLib
- ArDrone_properties.vsprops
- do the same as you did to the previous file
- ArDrone_properties.props
- Now re-open ARDrone.sln
- you should see along the bottom VS2010 is parsing all the new files you just refrenced
Make VS2010 Aware Of New Code:
- In “Solution Explore” right click “ArDroneAPI” ->properties
- Go to Configuration Properties -> VC++ Directories -> Click Include Directories -> Edit -> then add the following lines to match your system
- C:\<Path To Unziped File>\Ar Drone\SDL-1.2.14\include
- C:\Program Files %28×86%29\Microsoft SDKs\Windows\v7.0A\Include
- C:\Program Files %28×86%29\Microsoft DirectX SDK %28June 2010%29\Include
- Click Ok
- In the same properties box -> click Library Directories -> then add the following lines to match your system
- Click Ok
- Click Ok on the properties box
- Do the same procedure on the “Win32Client”
- Build your solution
- if you get the following error you need to include the red part in the above Library Directory line: C:\Program Files %28×86%29\Microsoft DirectX SDK %28June 2010%29\Lib\x86 :
Error 2 error C1083: Cannot open include file: 'd3dx9.h': No such file or directory c:\users\justin\documents\ar drone\ardrone_sdk_1_5_version_20101004\examples\win32\sdk_demo\sources\ui\directx_rendering.h 32 1 Win32Clien
- You should have the following error:
Error 1 error C1083: Cannot open include file: 'SDL/SDL.h': No such file or directory c:\users\justin\documents\ar drone\ardrone_sdk_1_5_version_20101004\ardronelib\vp_sdk\vp_stages\vp_stages_o_sdl.h 33 1 ArDroneAPI
Fixing Compile Issues:
- To fix the error double click the line in the error list and it should open a file called “vp_stages_o_sdl.h” if not dig around in the solutions explore (I promise it’s there somewhere)
- change line 33
- from: #include <SDL/SDL.h>
- to: #include <SDL.h>
- rebuild the solution (it is important that you rebuild and not just build)
- change line 33
- Assuming that you are viewing warning as well as errors you should see the following messages in the error list window
Warning 5 warning LNK4221: This object file does not define any previously undefined public symbols, so it will not be used by any link operation that consumes this library C:\Users\Justin\Documents\Ar Drone\ARDrone_SDK_1_5_Version_20101004\Examples\Win32\VCProjects\ARDrone\ArDroneAPI\uvlc_codec.obj ArDroneAPI Warning 4 warning LNK4042: object specified more than once; extras ignored C:\Users\Justin\Documents\Ar Drone\ARDrone_SDK_1_5_Version_20101004\Examples\Win32\VCProjects\ARDrone\ArDroneAPI\Debug\uvlc_codec.obj 1 1 ArDroneAPI Warning 6 warning LNK4006: _gettimeofday already defined in video_stage_recorder.obj; second definition ignored C:\Users\Justin\Documents\Ar Drone\ARDrone_SDK_1_5_Version_20101004\Examples\Win32\VCProjects\ARDrone\ArDroneAPI\time.obj ArDroneAPI Warning 7 warning LNK4006: _gettimeofday already defined in video_stage_recorder.obj; second definition ignored C:\Users\Justin\Documents\Ar Drone\ARDrone_SDK_1_5_Version_20101004\Examples\Win32\VCProjects\ARDrone\ArDroneAPI\ardrone_navdata_file.obj ArDroneAPI Warning 2 warning C4013: 'clz' undefined; assuming extern returning int c:\users\justin\documents\ar drone\ardrone_sdk_1_5_version_20101004\ardronelib\vlib\uvlc\uvlc_codec.c 269 1 ArDroneAPI Warning 3 warning C4013: 'clz' undefined; assuming extern returning int c:\users\justin\documents\ar drone\ardrone_sdk_1_5_version_20101004\ardronelib\vlib\uvlc\uvlc.c 29 1 ArDroneAPI Warning 1 warning C4013: 'bswap' undefined; assuming extern returning int c:\users\justin\documents\ar drone\ardrone_sdk_1_5_version_20101004\ardronelib\vlib\video_mem32.c 39 1 ArDroneAPI Error 9 error LNK2019: unresolved external symbol _uvlc_codec_free referenced in function _video_codec_close C:\Users\Justin\Documents\Ar Drone\ARDrone_SDK_1_5_Version_20101004\Examples\Win32\VCProjects\ARDrone\Win32Client\ArDroneAPI.lib(video_codec.obj) Win32Client Error 8 error LNK2019: unresolved external symbol _uvlc_codec_alloc referenced in function _video_codec_open C:\Users\Justin\Documents\Ar Drone\ARDrone_SDK_1_5_Version_20101004\Examples\Win32\VCProjects\ARDrone\Win32Client\ArDroneAPI.lib(video_codec.obj) Win32Client Error 10 error LNK1120: 2 unresolved externals C:\Users\Justin\Documents\Ar Drone\ARDrone_SDK_1_5_Version_20101004\Examples\Win32\VCProjects\ARDrone\Debug\Win32Client.exe Win32Client
- In the solutions explore “right click -> remove” (delete) one of the duplicate uvlc_codec.c files located in ArDroneAPI -> Fichiers sources
- In the solutions explore open the following files and do the following:
- ArDroneAPI -> Fichiers sources -> uvlc.c
- Paste this line above the line: void uvlc_encode( video_stream_t* const stream, int32_t level, int32_t run, int32_t not_last )
- Paste this line above the line: void uvlc_encode( video_stream_t* const stream, int32_t level, int32_t run, int32_t not_last )
int clz2(unsigned long x) { /* Barbarian counting method if no instrinsic is available */ int i; const int L=sizeof(x)*8-1; const unsigned long mask = ( 1 << L ); if (x==0) { return L+1; } for (i=0;i<L;i++) { if (x&mask) return i; x<<=1; } return i; }
- ArDroneAPI -> Fichiers sources -> uvlc.c
-
-
- change all references from “clz” to “clz2” in the remainder of the file (ctrl-f may come in handy, just make sure your searching only the “current document”)
-
- ArDroneAPI -> Fichiers sources -> uvlc_codec.c (there should only be 1 now as you deleted the duplicate)
- Paste this above the line: void uvlc_codec_alloc( video_controller_t* controller )
int clz3(unsigned long x) { /* Barbarian counting method if no instrinsic is available */ int i; const int L=sizeof(x)*8-1; const unsigned long mask = ( 1 << L ); if (x==0) { return L+1; } for (i=0;i<L;i++) { if (x&mask) return i; x<<=1; } return i; }
- change all references from “clz” to “clz3” in the remainder of the file (ctrl-f may come in handy, just make sure your searching only the “current document”)
- ArDroneAPI -> Fichiers sources -> video_mem32.c
- Paste this line bellow the last #include:
- Paste this line bellow the last #include:
unsigned long bswap2(unsigned long x) { return _byteswap_ulong(x); }
- Change all references from “bswap” to “bswap2” in the remainder of the file (ctrl-f may come in handy, just make sure your searching only the “current document”)
- Save Changes and Rebuild Solution
- You should now have the following errors:
Warning 1 warning LNK4006: _gettimeofday already defined in video_stage_recorder.obj; second definition ignored C:\Users\Justin\Documents\Ar Drone\ARDrone_SDK_1_5_Version_20101004\Examples\Win32\VCProjects\ARDrone\ArDroneAPI\time.obj ArDroneAPI Warning 2 warning LNK4006: _gettimeofday already defined in video_stage_recorder.obj; second definition ignored C:\Users\Justin\Documents\Ar Drone\ARDrone_SDK_1_5_Version_20101004\Examples\Win32\VCProjects\ARDrone\ArDroneAPI\ardrone_navdata_file.obj ArDroneAPI 3 IntelliSense: a value of type "void *" cannot be assigned to an entity of type "uint32_t *" c:\users\justin\documents\ar drone\ardrone_sdk_1_5_version_20101004\ardronelib\vlib\uvlc\uvlc_codec.c 281 19 ArDroneAPI
The Final Few Bug Fixes:
- In ArDroneAPI -> Fichiers sources -> time.c change the method “gettimeofday” to “gettimeofday2” and update any calls to said function in time.c to call gettimeofday2 (this is a very similar procured to what you just did except it requires no copy and pasting)
- In ArDroneAPI -> Fichiers sources ->ardrone_navdata_file.c change the method “gettimeofday” to “gettimeofday3” and update any calls to said function in ardrone_navdata_file.c to call gettimeofday3 (this is a very similar procured to what you just did except it requires no copy and pasting)
- Rebuild Solution
Success!
<출처>
http://www.sparticusthegrand.com/ardrone/ardrone-compile-windows-sdk-1-5-in-visual-studios-2010/
'Interest'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니어 스테이지 전문용어 (0) | 2010.12.01 |
---|---|
라그랑지안(b0.001) (0) | 2010.11.23 |
동역학 (0) | 2010.11.17 |
우주전쟁2 (0) | 2010.11.08 |
요즘 하는 Segway (0) | 2010.11.06 |
오늘 장장 1주일에 걸친 실랑이 끝에 A/S 받는다고 해도 유상수리 이기때문에 70% 가격을 지불해야 한다고
해서 그냥 뜯었다.
증상은.. 조루 배터리와 오른쪽 클릭이 잘 안되는 것이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내부를 뜯었다.
헌데 마우스 클릭을 바꾸려니 2층의 PCB가 안뜯기는 것이 아닌가.. 나사도 풀고 다 했는데.. 아무리 힘을 줘도 10핀 커넥터 연결이 빠지질 않는 것이다.. PCB부셔먹을뻔해서 걍 인두기로 녹여서 ㅋㅋ 들어냈다
잘 빠지더라..
그리고 마우스 버튼 잘 사용하지 않는 휠 자우 버튼 중 오른쪽 것으로( 우클릭 버튼 아래 있다, 같은 버튼이 4개 존재 하므로) 선택하고 인두기로 녹여서 떼어낸 다음 다시 바꿔서 부착.. 대성공..ㅋ
지금은 마우스 우클릭 너무 잘된다.. 배터리는 바꿀려고 했더니.. 규격도 규격이지만, 배터리 커버가 -- 완전 안떨어진다 이건 답이 없다..ㅋ 부수든지 해야지 떨어질 기세라서 그냥 사용하기로 함..
배터리는 그래도 연속 5시간 정도는 가니깐..ㅋㅋ 선방한다고 생각된다.
자세한 내부는 웹사이트 분해 찾아보니 그림이 전부 엑박이 뜬다..;;
우선 바닥을 보면 아랫쪽 2개의 고무(그랑인딩 텍)를 들어내면 나사가 나온다..2개, 그리고 A/S택을 뜯어내면(뜯어내면 검은색 가루로 변신한다.. 손에 묻으니 집게로 들어낸다음에 버리자 앞으로 쓸모가 없어지니) 나사 2개가 나온다 총 4개를 풀고, '-' 드라이버를 사용해서 아랫쪽에 벌어진 틈으로 넣어서 살살 돌려본다 그러면 엄지손가락 아랫부분에는 들어가지 않게 된다.. 이 부분 안에 -- 걸쇠가 있다.. 힘주지 말고 올라온 부분을 이용해서 대각선으로 살살 당긴다.. 그러면 빠지게 된다.. 이때 세게 당기면 내부 연결선도 끝어진다..--
2개의 연결부분(전원과 데이터)가 있다. 우선 데이터를 뽑고 전원도 뽑는다..( 데이터 연결방향은 신경 안써도 되는듯 하다.. 양면인거 같다..ㅋ)그러면 밑판이 나온다.
여기서 가운데 휠 아래 은색 나사가 보인다. 이 부분을 풀어주자.. 그러면 조그휠을 덜어낼 수가 있다.
사진에서 파란색으로 동그라미 친 부분을 인두기로 녹여서 ( 흡입기가 있어야 한다.) 들어내면 쉽게 분리가 된다.
그런 다음 아래 동그라미 친 2개를 서로 바꿔서 장착할 것이다.
두개를 적출해서 교환 이식한다.. 조 쪼매난 버튼을 살 돈이 없어서가 아니가.. 굳이 사서 새로운걸 달 필요가 있나해서 -- 기존에 것을 사용했다.
조립은 역순으로 하면 된다...ㅋㅋ
지금 마우스 오른쪽 버튼이 너무 잘된다..ㅋ 이제 스타2를 하러 간다..ㅋ 이전에 무빙샷을 할 수 없었는데 이제 도전해봐야 겠다...ㅋㅋ 마린이여 기달..ㅋㅋ
사진은 뽐뿌 포럼 게신판 ( 인터넷검색했음 )에서 퍼왔다..ㅋ
'Computer Hardware' 카테고리의 다른 글
MSI Geforce GTX960 OC D5 2GB 개봉 & 설치 (0) | 2015.03.23 |
---|---|
임시저장2 (0) | 2013.03.07 |
Sandisk Extreme Pro 32GB (0) | 2013.01.24 |
ASUS Maximus IV gene STCOM 수리 (2) | 2013.01.14 |
3차원 공간에서 정확하게 위치를 잡는 리니어 스테이지의 성능에 영향을 주는 요소는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아베
에러, 직진성, 평탄도, 피치, 롤, 요, 히스리레시스, 백레쉬, 직교 배열, 엔코더 에러, 마운팅 표면, 그리고 외팔보 식 부하 등, 이
모두가 3차원 공간내의 위치 오차에 기여합니다. 검토를 목적으로, 이 다음부터 설명하는 부분은 X-Y 어셈블리로 조립되는 2개의 이동 스테이지 세트를 기준으로 것입니다. 어셈블리의 하부 스테이지는 3차원 공간에서 X축 방향으로 수평면을 이동하도록 정렬됩니다(X축). 상부 스테이지는 3차원 공간에서 Y축 방향으로 수평면을 이동하도록 첫번째 스테이지의 상부에 조립됩니다.(Y축) 아베 에러 - 베어링 방식의 각도 에러와 목표 지점과 구동 메커니즘 (볼 스크류) 또는 피드백 메커니즘 (리니어 엔코더)사이에서의 오프 셋 거리에 의해 발생하는 변위 오차입니다. 직진성 - 직진성은 수직의 이동
본선부터 수평면에서 이동 방향까지의 편차입니다. 평탄도(일명, 수직 직진성) - 평탄도는 수직의 이동본선부터 수직면에서의 이동 방향까지의 편차입니다. 상기 기술된 스테이지 어셈블리에 대해서는, X축 또는 Y축 스테이지의 이동에서의 직진성 편차가 Z 방향에서의 위치결정 오차를 발생시킵니다.
|
피치 - 피치는 이동 방향에 대해
수직의 수평면에 있는 축 주위의 회전입니다. 만일 측정하는 목표지점이 회전의 중심에 위치하지 않을 경우에 피치 회전은 2차원에서의 아베 에러를
발생시킵니다. X축에 대한 피치 회전은 X와 Z 두방향에서의 아베 에러 발생시킵니다. Y축에 대한 피치 회전은 Y와 Z 두방향에서의 아베 에러를 발생시킵니다. 이러한 에러의 크기는 회전각의 사인과 1-코사인에 의한 오프 셋 거리의 길이를 곱하여 결정됩니다. Example: X축 피치각도 (Φ) = 10 arc sec
(.0027°) 롤 - 롤은 이동방향에 대한 평행한 수평면에 있는 축 주위의 회전입니다. 만일 측정하는 목표지점이 회전의 중심에 위치하지 않을 경우에 롤 회전은 2차원에서 아베 에러를 발생시킵니다. X축에 대한, 롤 회전은 Y와 Z 두방향에서의 아베 에러를 발생시킵니다. Y축에 대한, 롤 회전은 X와 Z 두 방향에서의 아베 에러를 발생시킵니다. 이러한 에러의 크기는 회전각의 사인과 코사인에 의한 오프 셋 거리 길이를 곱하여 계산할 수 있습니다. 요 - 요는 이동방향에 대해 수직의 수직면에 있는 축주위의 회전입니다. 만일 측정하는 목표 지점이 회전의 중심에 위치하지 않을 경우에 요 회전은 2차원에서 아베 에러를 발생시킵니다. X 또는 Y 스테이지에 대한, 요 회전은 X와 Y 두 방향에서의 아베 에러를 발생시킵니다. 이러한 에러의 크기는 회전각의 사인과 코사인에 의한 오프 셋 거리의 길이를 곱하여 계산할 수 있습니다. |
히스테리시스 에러 - 히스테리시스 에러는 모션시스템내의 탄성력에 의해 발생하는 목표 지점에서의 실제 위치와 명령되어진 지점간의 편차입니다. 또한, 양방향 반복 정도에 영향을 줍니다. 에어로텍의 리니어 위치결정 스테이지에 대해 히스테리시스에 의해 발생하는 정밀도와 반복정도 에러는 스테이지 사양 표 안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기계 기반에서의 탄성력, 부하, 부하 연결 하드웨어는 고려하지 않았고, 최적의 성능을 위해 반드시 검사하고, 최소화 되어야 합니다. 백래시 에러 - 백래시 에러는
이동방향의 반전에 의해 생기는 위치결정 오차입니다. 백래시는 이동방향 반전 시의 위치에서 바뀌지 않게 만드는 지령된 모션의 일부입니다. 백래시는
구동열내의 요소간 간극으로 인해 생깁니다. 간극이 커질수록, 모션을 생성시키기 위해 요구되는 입력량이 커집니다. 간극의 증가는 증대된 백래시
에러를 만들어 냅니다. 백레쉬는 또한, 양방향 반복성에 영향을 미칩니다. 엔코더 에러 - 절대적인 눈금길이, 일치하지 않은 눈금간격분할과 같은 엔코더의 작동상의 결점, 광 탐지기 신호에서의 결점, 보간회로 에러, 히스테리시스, 마찰, 그리고 노이즈는 리니어 이동 스테이지의 위치결정 능력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사양표 내의 정밀도와 반복정도 정보는 절대적인 눈금길이를 제외하고는 이러한 모든 에러를 감안하고 있습니다. 절대적인 눈금길이는 엔코더 눈금의 열적팽창에 영향을 받는다. 시스템 설계와 사양에는 반드시 온도의 고려사항을 감안하여야 합니다. |
직교 배열 - X와 Y축을 따라
정밀하게 이동하는 2개의 스테이지에 대하여, Y축에 대한 이동선은 X축의 이동선에 대해 직각을 이뤄야 합니다. 만일, 2개의 이동선이 직각이
아닐 경우, Y축 이동은 X방향에서 위치오차를 만듭니다. 이 오차의 최대 값은 각도오차의 사인에 스테이지의 이동길이를 곱하여 산출할 수
있습니다. 직각 오차 = 5 arc sec (0.0014°) 기계기반 마운팅 표면 - 기계기반은
리니어 이동 스테이지의 성능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통상 에어로텍 스테이지는 스테이지 사양을 보증하기 위해 기계표면이 5μm(0.0002
in) 이하의 국지적인 평탄도 편차를 갖기를 요구합니다. 사양 보다 더 큰 평탄도 편차를 가진 기계기반에 스테이지를 탑재하는 것은 스테이지를
굴절시킬 수 있습니다. 외팔보 식 부하 - 외팔보 식
부하가 이동 스테이지에 놓여질 때, 모멘트 부하가 만들어 집니다. 전단력과 만곡력이 스테이지의 구조적인 요소에 굴곡을 유도합니다.
X-Y어셈블리에서, 외팔보 식 부하는, 하부 축에 작동하고, 부하가 상부 축의 최고까지 횡단함에 따라 증가합니다. Z 방향내의 위치오차는 Y축
휘어짐과 X축 롤의 결합으로 인해 발생하게 됩니다. 출처 : 애니모션텍 주식회사( ANI MOTION TECH LTD.) |
'Interest' 카테고리의 다른 글
ARDrone - Compile Windows SDK 1.5 In Visual Studios 2010 by Sparticus (0) | 2010.12.20 |
---|---|
라그랑지안(b0.001) (0) | 2010.11.23 |
동역학 (0) | 2010.11.17 |
우주전쟁2 (0) | 2010.11.08 |
요즘 하는 Segway (0) | 2010.11.06 |
기존 클래식(?) 또는 고전이라고 불리우는 뉴턴 역학을 다른 관점으로 해석..( 그게 그거인듯..;;)한다.
그것은 에너지( 초등학교 나와도 안다는 .. 에너지 보존법칙.. 참.. 유명하지..요) 관점에서의 계의 특성을 기술
하는 것이다. 공부 잘 하는 중학생이나, 고등학생이면 에너지가 더 쉽게 다가올 것이다. 하지만 나도 그렇지만 정규 교육과정에서의 에너지는 단순히 뉴턴역학의 연장 차원이라고만 생각해왔다. (그렇게 생각해도 맞는거 같다.) 암튼.. 라그랑지안을 쓰는 절대 이유.. 우리가 흔히 생각하는 기준 좌표계(x,y,z)로는 해석이 어려운 일반 좌표.. ( 즉.. 원통.. 구.. 기 타 등등.. 일반적으로 우리가 세울 수 있는 좌표들.. 요게 여렇게 변하니깐 저게 저렇게 변화더라.. 이걸 x,y,z로 바꿀려면.. 머리가 아프시죠? 그걸 단순히 내가 정의하는 거죠.. 요거는 뭐, 저거는 뭐뭐 등으로,, 하게 되면 쉽게 해석이 된다는 말이죠.. 뭐.. 어짜피 내가 설정한 좌표와 x,y,z좌표와의 관계에 대해서도 생각해줘야 겠지만.. x,y,z로만 해석이 안되는 것들이 존재할 수 있기에.. 주절 저절.. 뭐라고 하는지.. 참..헛소리 집어치우고.. 라그랑지안을 설명하자면
라그랑지안수 L을 구하는게 1차 목표이고, 그 L(여기 수식 넣는것은 없나 --)을 어쩌고 저쩌고 해서.. 힘의 관계를 찾아내는 것이 라그랑지안 방정식이다.
인터넷에 찾아보면 알겠지만,,( 수식을 입력하자니.. -- 귀찮아서.. 나중에 수정을 ㅋㅋ)
어떤 계의 변화력(?)을 시간에 관한 변화율한 것 - 계의 편미분 = 계의 힘..;;
이해가 되실련지.. --
먼저 L은 에너지 보존법칙(운동 + 위치 = 전체)을 이용해서,, 시그마(운동 - 위치) = L 이라고 정의합니다.
그 L은 계의 변화율에 관한 편미분 ( partial L / partial 계의 시간변화율 ) = dot(L) 이라고 하면
시간에 관한 전미분 ( d/dt) *dot(L) - partial L/ partial 계 = 힘(계) ;;;;
아..글로 설명하려니;; ㅎㄷㄷ.. 수식으로 나중에 올리겠습니다..;;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
뭐 아무튼.. 결론을 얘기하자면..
라그랑지안 방정식은.. "다양하게 변화하는 계의 상태를 뉴턴역학을 이용하는 것보다 더 단순하게 기술할 수 있다." 입니다.
오늘은 여기까지.. 이 포스트.. 계속 수정할 것입니다.. ㅋㅋ
수정할 때마다.. 제목에 버전을 붙이지요.. ㅎ
'Interest' 카테고리의 다른 글
ARDrone - Compile Windows SDK 1.5 In Visual Studios 2010 by Sparticus (0) | 2010.12.20 |
---|---|
리니어 스테이지 전문용어 (0) | 2010.12.01 |
동역학 (0) | 2010.11.17 |
우주전쟁2 (0) | 2010.11.08 |
요즘 하는 Segway (0) | 2010.11.06 |
이 사람 참 대단한 거 같다.ㅋㅋ
내 머리로는 도저히.. 완전한 이해가 안되네.. 지금 문제를 푸는데는 아무 이상이 없다지만
동역학의 특성상... 몇가지의 변화로.. 엄청난 오차를 발생시킬 수 있는데..ㅡㅜ
울고 싶구나..ㅎ
기회가 되면 라그랑지안 방정식에 대해서 포스팅 해봐야지..
그제, 어제.. 매우 아팠다.. --ㅋ 감기에.. 급체에.. 말도안되는 정신적 스트레스 까지..;;
꿈에서 본게 가능하려면..ㅋ 100년은 더 있어야 할 듯..
아이고 머리야.. ㅎㅎㅎ
'Interest' 카테고리의 다른 글
ARDrone - Compile Windows SDK 1.5 In Visual Studios 2010 by Sparticus (0) | 2010.12.20 |
---|---|
리니어 스테이지 전문용어 (0) | 2010.12.01 |
라그랑지안(b0.001) (0) | 2010.11.23 |
우주전쟁2 (0) | 2010.11.08 |
요즘 하는 Segway (0) | 2010.11.06 |
말 많고 탈 많던 스타2 이지만, 곧 안정화되면 대박이 될듯하다.
참고로 == 와우 7일 계정 (6,400 , VAT시 7000원 정도)가 더 저렴하다는 것을 이제야 알았다..
욕 나올거 같네 -- 썅.. ㅎ
뭐 암튼 조만간 스스디 지르고 나서 널 질러줄꺼야 ㅋㅋ
http://kr.battle.net/sc2/ko/
스타2 샀지요..--V
'Interest' 카테고리의 다른 글
ARDrone - Compile Windows SDK 1.5 In Visual Studios 2010 by Sparticus (0) | 2010.12.20 |
---|---|
리니어 스테이지 전문용어 (0) | 2010.12.01 |
라그랑지안(b0.001) (0) | 2010.11.23 |
동역학 (0) | 2010.11.17 |
요즘 하는 Segway (0) | 2010.11.06 |
http://www.mathworks.
'Interest' 카테고리의 다른 글
ARDrone - Compile Windows SDK 1.5 In Visual Studios 2010 by Sparticus (0) | 2010.12.20 |
---|---|
리니어 스테이지 전문용어 (0) | 2010.12.01 |
라그랑지안(b0.001) (0) | 2010.11.23 |
동역학 (0) | 2010.11.17 |
우주전쟁2 (0) | 2010.11.08 |